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8

자본주의 공식, 이 조합만 기억하세요: 서울 부동산 + 미국 주식이 답입니다 주변에 ‘국내주식으로 대박 나서 서울아파트 샀다’는 사람, 몇명 있나요?혹시 주변에 집 사서 잘된 사람이 많나요? 집 없이 주식투자로 잘된 사람이 많나요? 네, 어쩌면 집 안사고 국내주식만으로 잘된 케이스 한명, 두명은 있습니다. 저도 입사 동기가 2017년도 코인 대세상승 때, 남들보다 먼저 잡코인 사서 20억을 벌고 퇴사하는걸 봤고, 또 회사 선배가 주식으로 몇억 벌어서 아파트 샀다. 한두명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선배님들 아파트 계속 보유하고 있네요. 제가 약 10년 동안 증권사 다니면서, 수백명의 업계사람들을 만났지만, 주식투자, 특히 국내주식 투자로 몇억 벌었다는 사람 진짜 3명 정도 봤습니다. 토탈해서 수십억이 아니라 5억, 7억... (한 다리 건너, 나 아는 누가 벌었다 말고요. 제가 직접 .. 2025. 4. 23.
AI 대전환 시대에 30대 청년이 취해야 할 전략 AI를 통해 일본 역사를 공부하다가 메이지 유신의 주역 '이토 히로부미'를 알게 되었다. 그동안 안중근 의사에게 총맞아 죽은 일본 주요인물로만 알고 있었으나,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이였는지 궁금해서 AI로 알아보니, 하급 사무라이 집안이였지만, 영국에서 유학 후,  일본에 메이지 유신을 이끌고, 또 독일로 유학을 가서 헌법을 배워와, 일본에 헌법을 제정한 상당히 훌륭한 인물이였다. 물론, 조선의 자주성을 빼앗고, 우리 조상님들에게 고난과 역경을 주었겠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일본을 위대하게 만든 위인이였다.  여튼, 그걸 보다보니, 서양 문물이 동북아시아에 넘어오던 시절, 이토 히로부미 처럼 빠르게 그것을 접목한 사람은 출세하고 국가 또한 부강하게 만들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지금도 AI가 빠르게 도입되고 .. 2025. 3. 31.
P/FCF (Price to Free Cash Flow)로 벨류에이션 평가하기! (Feat. 테슬라, 아마존의 벨류에이션) P/FCF (Price to Free Cash Flow)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가성비 지표 중 하나야. AI로 정리했으니 같이 공부해봅시다. ✅ 1. P/FCF란?P/FCF = 시가총액 / 자유현금흐름(Free Cash Flow)또는P/FCF = 주가 / 주당 자유현금흐름(FCF per Share)Price (P): 주가, 또는 시가총액 (기업의 현재 시장 가치)FCF (Free Cash Flow): 기업이 벌어들인 현금 중에서, 설비투자(CAPEX) 등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즉, **P/FCF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자유롭게 쓸 수 있는 현금’ 1달러당 얼마나 지불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야.✅ 2. Free Cash Flow (자유현금흐름)이 뭔데?간단하게 말하면.. 2025. 3. 24.
테슬라(Tesla) 고점대비 -50%, 지금이 매수 기회일까, 더 떨어질까? Tesla 주식이 최근 몇 달 동안 큰 폭으로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 끌고 있습니다. 최고점 대비 50% 이상 하락한 주가, 악화된 기업 펀더멘털, 그리고 CEO인 Elon Musk의 논란까지 겹치면서 Tesla는 과연 지금이 매수 타이밍인지, 아니면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지 고민되는 시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esla 주가 하락 원인과 미래 전망을 심층 분석해 보겠습니다.  1. Tesla의 주가 하락 원인1) 기업 펀더멘털 악화Tesla의 매출 성장 둔화: 과거 30~90%의 분기별 성장률을 보였지만 현재는 한 자리 수 성장률에 머물러 있음.영업이익률 및 순이익 감소: 3년 전 대비 매출 총이익률(Gross Margin) 하락.자유현금흐름(FCF) 감소: 회사의 재무 건전성이 약화되며.. 2025. 3. 20.
배당ETF만 사는 것보다, 배당성장ETF와 성장ETF 섞으면 더 높은 수익률이 가능하다. 성향에 맞게 하세요 성장 투자 vs. 배당 투자: 어떤 전략이 나에게 적합할까?서론투자는 단순히 자산을 불리는 행위가 아니라, 장기적인 재정적 목표와 투자자의 리스크 감내 수준에 맞춰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과정이다. 특히, 투자 전략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성장 투자(Growth Investing)**와 **배당성장 투자(Dividend Investing)**는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접근법으로 꼽힌다.이 글에서는 성장 투자와 배당성장 투자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각 전략이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한지, 그리고 두 가지를 조합하는 방법까지 살펴본다.  성장 투자(Growth Investing): 고수익을 향한 장기적 접근1. 성장 투자란?성장 투자는 급격한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2025. 3. 18.
미국주식 투자의 기본! 기업 자료 확인하기! 요새 GPT랑 자주 대화를 하는데, 요녀석이 요걸 알려줬다. 아래는 GPT가 알려준 미국 기업 자료 접근하는 방법이야.미국 기업들은 한국보다 더 투명하게 IR(Investor Relations) 자료를 공개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어. 요거 보면서 공부합시다잉🔍 1. 기업 공식 IR 웹사이트대부분의 미국 상장 기업은 공식 IR(Investor Relations) 웹사이트에서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 주주총회, 투자자의 날 등의 자료를 공개함.보통 "Investor Relations" 또는 "Investors"라는 섹션이 있으며, 여기서 프레젠테이션, 컨퍼런스 콜 녹취록, 재무 보고서 등을 확인 가능.✅ 예시엔비디아(NVIDIA) IR애플(Apple) IR마이크로소프트(Micros.. 2025.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