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ETF

AIQ(Global X Funds - Global X Future Analytics Tech ETF),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에 투자하는 ETF.. 국내엔 이런 업종 투자할 곳이 없다.

by Henzs(헨츠) 2020. 2. 7.
반응형

 

미국증시 투자의 여러 장점 중 하나는, 국내에 없는 투자 대상이 있다는 것. 바로 AIQ ETF처럼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에 투자하는 ETF다. 물론, 국내에도 인공지능, 머신러닝 관련된 기업이 있지만, 막상 까보면, 도로신호체계 시스템이라던지, 검사장비에 AI가 들어간 업체라든지, AI 정통이라기 보다는 한계적으로 AI가 가미된 타 업종 업체에 가깝다. 우리가 메모리 반도체에 투자하려면 삼성전자, 하이닉스 매수하듯이, AI에 투자하려고 기업을 검색해보면, 딱히 손이 가는 기업을 찾기가 어렵다. (텔레칩스, 라온피플 정도는 찾았는데, 추가적으로 괜찮은 기업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때문에, 국내보다 훨씬 기술적으로 앞선 미국에서 관련 기업을 찾는 것이 유리한 전략이 되겠다.

 

 

AI기업은 미국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포티투마루는 아직 초기업체고, 비상장기업 기관이 아닌 이상 직접투자하기가 어려움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 업종은 미래성장산업이자, 기업경쟁력, 국가경쟁력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

이라는 사실은 굳이 여기에 자료를 기재하지 않아도, 신문을 최소 1주일에 한번이라도 읽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공장자동화, 음성인식 등 지금 당장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군들만 보아도 AI가 생산성, 효율성을 증대시킬 만한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때문에 AI업계에서 당장 실적이 안나오더라도 지속적으로 투자금이 몰릴 것으로 예상

 

AIQ(Global X Funds - Global X Future Analytics Tech ETF) 분석

 

2020년 2월 7일 AIQ 챠트

2018년 5월에 설정된 따끈따끈한 ETF다. 순자산 4900만달러(원화 약 580억원)으로 작은편이다. 거래량도 원화 4억5천만원 정도로 거래도 작은 부분이 부담될수도 있겠지만, ETF다 보니까 유동성 공급도 운용사에서 적절히 이뤄질 것이고, 보유종목들의 주가를 추종할테니 사이즈는 걱정 안하셔도 되겠다. 챠트를 보면, 최근 미국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기업들이 강세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종목은 중장기로 가져가는게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고, 한가지 리스크가 있다면, 미증시가 10년 이상 우상향 했고, 현재 PER도 역사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 때문에, 하락장을 거치고 나서 매수하는게 가장 좋은 타이밍이겠지만, 미국 대선이 있는 11월 이전까지는 증시가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AIQ의 장점은?

AIQ의 목표는 전세계에 퍼져있는 실질적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업들에 투자함으로써, 지리적 차이를 극복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업종에만 투자할 수 있으며, 이는 포트폴리오를 하나씩 나누는 작업에 비해 훨씬 수월하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은 미국과 중국이 앞서나가고 있기 때문에, 구성된 종목의 대부분이 미국, 중국 업체들이다. 또한, 인공지능, 빅데이터는 성장 잠재력이 큰 업종이기에 전통섹터 보다 더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으로 여겨진다. 장기투자 하기 좋은 ETF라 볼 수 있다.

 

 

탑 10 보유종목

보유하고 탑 10 종목이다. 구글(알파벳)이 빠져있어서 의외고, 인터넷업종, 기술업종 느낌이 강하다. 업종 ETF 매매시 최소한 탑 10 종목들은 확인하고 매매에 나서야 한다.

 

금액은 작지만, 반기 배당도 있다.

최근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올해 배당수익률이 0.38% 이라는 낮은 수치이기 때문에, 연 2회의 배당락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배당수익은 염두에 두지말고 매매를 하는 것이 좋겠다. 성장업종이니 장기투자 관점으로 가격빠질때마다 모아가는 전략이 좋을 듯 싶다.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처럼 외생변수로 인해 가격 빠질때.

 

 

*2020년 배당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