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단기 실적 악화 vs 중장기 성장 모멘텀
Pitch
실적 컨센서스와 주가 모두 코로나 19 영향 기반영. 기존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Disney+ 의 글로벌 시장 성과로 DTCI 부문의 턴어라운드 시점이 앞당겨질 전망. 중장기 투자를 위한 좋은 선택지
Rationale
•코로나19 영향으로 3월 14일 디즈니 테마파크 전면 폐쇄. 19년 영업이익의 46% 기록한 Parks, Experiences and Product 부문의 실적 악화 불가피. 글로벌 영화관 폐쇄, 스포 츠 이벤트 연기로 Studio와 Media 부문 실적도 타격
•그러나 코로나19에 따른 실적 악화는 주가와 컨센서스에 기반영. 4월 11일 기준 2020년 EPS 컨센서스는 $2.8로 연초의 $5.5 대비 48% 감소. 주가는 YTD -30% 기록. 시장은 21년부터 EPS 점증을 전망하며 실적 정상화 기대
•20년 4월, Disney+는 출시 5개월차에 가입자 수 5,000만명 돌파하며 기존 가입자 수 가이던스(2024년: 6~9천만명)를 크게 상회. 4월 3일 인도 시장 진출 첫 날 가입자 수 800 만명 확보. 자회사인 인도 1위 OTT 서비스 Hotstar(MAU 3억명)와의 시너지 본격화 전망
•당초 21년 상반기로 제시한 Disney+의 남미 서비스 시기를 20년 하반기로 앞당기고 일본 시장 진출 시기를 확정하며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 이에 따라 시장에서 기대하는 턴어라운 드 시점이 기존 24년에서 23년으로 단축
•12M Fwd PER은 36배로 5년 평균 16배를 크게 상회. 실적 정상화를 반영한 차기년 PER 은 현재 22배로 19년 11월 Disney+ 북미 시장 성과 확인했던 시기의 25배 반영 시 여전 히 12% 상승 여력 발생. 인도 시장 출시 초기의 호실적과 기존 가이던스 대비 빨리지는 해외 시장 진출 시기, 턴어라운드 시점 등 고려 시 추가적인 프리미엄 부여도 가능
'미국 주식,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카드 Mastercard(MA.US), 미국의 대표적 전자결제 관련주. 코로나 수혜 전망 (0) | 2020.07.02 |
---|---|
Wells Fargo(WFC.US), 미국 4대 은행 중 가장 저평가 (0) | 2020.06.24 |
스타벅스(SBUX, US), 2분기 미국과 중국 동일매장 매출 발표 (0) | 2020.04.29 |
YUM! Brands (YUM, US), 20년 1분기 실적발표 앞두고 암울한 전망 (0) | 2020.04.29 |
AIQ(Global X Funds - Global X Future Analytics Tech ETF),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에 투자하는 ETF.. 국내엔 이런 업종 투자할 곳이 없다. (0) | 2020.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