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증시 분석

금융위기? 증시침체? 장단기 금리차로 확인하는 증시하락 구간

by Henzs(헨츠) 2020. 2. 25.
반응형

간만에 지수 약 4% 빠지는 날이다. 코로나 테마주 단타로 재미는 좀 봤지만, 2차전지주 물려있는게 있어서 쬐까 꺼림칙 하긴 하다... 코스피 -3.86%, 코스닥 -4.28% 라니... 내일도 시초 하락갭 띄울 것 같다. 

 

그런데 중국을 보라. 아무리 코로나19 환자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하지만, 너무 평온하다. 미국도 코로나 영향을 받긴 했지만, 하락세가 제한적이다. 이걸 보면, 글로벌증시는 코로나로 인해 침체로 이어지는게 아니라, V자 또는 U자 반등을 그릴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그러면 국내증시도 공포극대화시 매수관점이 유효할 것 같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챠트를 보면, 지수는 볼린저밴드 하단에 위치해 있어 기술적으로는 반등을 줄 시점이 아닌가 싶다. 이번주 내로 반도체 종목 조금씩 사모을 생각이다.

 

 

라고 어제 글쓰다가 저장하고 오늘 다시 이어서 써본다.

 

 

 

미국의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되면, 15~24개월 후 금융위기가 왔었다.

익히 들어온 말이다. 아마 투자자라면 한번은 들어봤을 것이다. 단기금리는 미연준의 금융정책에 따라 방향을 결정하지만, 장기금리는 경제라고 배웠다. 장기금리가 빠진다는 것은 그만큼 미래에 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시장의 심리가 반영됐다는 것. 현재 인위적인 금리인하를 통해서 단기금리가 내려가는 추세에서 장기금리가 더 빨리 빠진다는 것은, 미래 경기전망이 좋지 않다는 의미. 이전 챠트를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처음 나타난후 약 2년후에 금융위기가 왔었다.

장단기 금리차를 10년물 - 2년물, 또는 10년물 - 3개월, 또는 30년물 - 2년물 등등 사람마다 중요시 보는게 다르지만, 여기서는 10년물 - 2년물 과 10년물 - 3개월물 로만 보겠다.

 

 

미국채 10년물 - 2년물 장단기 금리차이

 

 

미국채 10년물 - 3개월물 장단기 금리차이

 

2019 8월에 잠깐 10년물 - 2년물에서 금리 역전이 나왔고, 10년물 - 3개월물에서는 2019 5월말에 나타났다

2007년 서브프라임때를 기준으로 보면, 10-2년 역전에서는 2년후 금융위기가 찾아왔고, 10-3월에서는 15개월후에 나타났다. 그래서 대략적으로 1년반 이후에 미증시 꼭지가 나타난다고 대략적으로 본다면, 내년 초부터는 위험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과거에 그랬다고 해서 이번에도 그러리라는 보장은 없다. 다만, 미국 대선이 남아있는 만큼, 대선때까지는, 이번 코로나가 글로벌 펜대믹으로 급부상하지만 않는다면, 시장은 더 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데, 올해 하반기까지는 모르겠고 상반기까지는 좀 더 상승세를 유지하지 않을까 싶다. 상반기까지만 위험자산을 보유하고 그 이후부터는 안전자산을 모아갈 생각을 해야된다.

 

 

금융위기로 인한 증시침체는 얼마나 진행되는가?

2007 10월 중순이 S&P500 꼭지였고, 그당시 나스닥은 10월말까지 신고가 찍었지만, 결국 10월중순~말 쯤이 미증시 꼭지였다고 보면 되겠다. 하락세는 대략 1 3개월 정도는 갔었다. 다시 한번 금융위기가 오더라도 똑같이 그러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만약 금융위기로 인해서 주가가 빠지기 시작한다면 최소 1년은 저가매수한다고 나서지 않는게 좋다는 판단이다

 

그렇다면, 2020년은 어떻게 될까?

버틸거라고 본다. 현재 미국내에서 올해 4분기부터 미국경제가 침체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경기침체가 나타나기 전, 수 개월 전부터 증시는 조정을 겪기 시작하므로 이번 2분기까지는 위험자산보유는 유효하다는 판단이지만, 코로나가 증시 하락전환의 트리거로 작용할까봐 걱정이 된다.

 반면에 미국대선을 준비하는 년도엔 증시침체가 없었다는 얘기도 있다. 오바마때 한번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도, 트럼프는 재선을 위해서 어떻게해서든 금리인하와 증시부양을 펼치려고 하고 있고, 중국 또한 코로나 사태의 대안책으로 지속적으로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인위적으로 경기를 붙잡고 있는 상황에서는 단기금리가 급격히 오르지만 않는다면, 버티지 않을까 싶다.

 , 결론은 상반기까지는 증시침체가 나타날 가능성이 낮아보인다. 하지만, 하반기부터는 슬슬 준비를 해야한다는 판단이다.

 

내가 틀릴 수도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 주식은 상반기까지만 보유하고 다 안전자산으로 돌릴 생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