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ETF

중국 지수 ETF에 투자해보자! 중국 지수 ETF 정리. 국내 상장, 해외 상장.

by Henzs(헨츠) 2020. 7. 9.
반응형

최근 해외주식 투자가 더 뜨거워 지면서,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투자 문의가 많다. 종목 하나하나 내용은 인터넷을 찾아보면 많이 나오나, 두 국가의 지수 ETF나 업종 ETF 관련 정보는 비교적 적다. 특히 중국 투자 관련 ETF 정리된 내용은 거의 없는 것 같다... 내가 찾다가 못찾아서 직접 정리해서 투자자들에게 좋은자료가 되게끔 남기려고 한다.

 

개인적으로 미국, 한국, 파생, 원자재를 주로 매매하는데, 이것만 해도 너무 바쁘고 정신없어서 중국은 배제했었는데, 최근 들리는 소문이 너무 달콤해서 중국 지수 ETF를 알아보고 있다.

 

 

최근 중국 증시가 뜨겁다!

국내 기사에는 거의 나오지 않았으나, 최근에 달콤한 이야기가 돌고 있다. 아마 그 이야기가 상해증시를 뜨겁게 달구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관련 국내기사는 아직 못찾았다.

 얼마전 중국경제전문가 안유화교수님(성균관대)이 유튜브를 통해, 그동안 상해지수 구성종목 안에서 종목 신규유입과 퇴출 같은 리밸런싱이 없었기 때문에, 중국 GDP 성장률이 상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수가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3000포인트 안팍에서 저조한 박스권을 유지했었고, 이를 이번 양회에서 개선할 것이라는 얘기를 하였다. 지수비중의 70%가 국유기업인데 이중에서 왜곡시키는 상당수를 배제하고 중국판 나스닥인 커촹판안에 있는 성장기업들을 새로 편입시키겠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네이버에서 이런 내용의 국내기사를 검색해봤는데 못찾았다. 내가 못찾는건가 아니면 기사가 없는건가? 찾으신 분들 댓글로 링크 좀 부탁드립니다....

p.s  중국 상해거래소에는 올라와있긴 하다 (http://english.sse.com.cn/markets/indices/indexnews/c/5130636.shtml)

 

 

중국지수는 땡길때는 확실하게 땡겼다. 대박 스멜

아래 챠트를 보면 2005년도부터 상해지수를 보면 한번씩 저렇게 작전주 같은 첨탑을 보여줬었다. 이유는 찾기 귀찮아서 안찾았지만, 지금처럼 유동성 공급이라든지 시장개방이라든지 결국 자금유입이나 기대감이였겠지.... 중요한건 저런 첨탑이 또 나올때 지수 ETF를 들고 있다면, 또는 지수에 신규 배정되는 종목을 매수한다면 상당한 수익이 가능할 것이다.

 

 

 

종목은 향후에 찾고... 오늘은 중국 지수 ETF만 정리해보겠다.

종목은 항서제약 보고 있긴한데 아직 정리할 정도로 분석이 되지 않아서 향후에 올리기로 하고....중국 지수 ETF를 먼저 서칭하자면, 국내상장, 해외상장 중국지수 ETF로 나눠보았다.

 

1. 국내상장 ETF

국내상장 ETF는 생각보다 몇개 없다... CSI300 지수 관련 ETF만 거래대금이나 시총규모에서 그나마 투자할만한 여건을 갖추었다. 맨 아래에 있는 KBSTAR중국본토대형주는 시총379억원에 하루 거래대금이 9700만원이기 때문에, 유동성 공급 문제로 주가 괴리가 나타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로 어제 상한가 갔다가 -0.15%에서 마감하는 기이한 현상을 나타냈다. 때문에, 시총이나 거래대금 사이즈가 어느정도 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하며 거래금액이 클 경우 편리하게 매매가 가능하겠다. 

 

KBSTAR 중국본토대형CSI100 ETF 챠트... 전일 상한가 찍고 -0.15%에서 마감. 규모와 거래금이 적다보니 괴리 발생

보이는 바와 같이 Tiger차이나CSI300이 시총 2000억원대의 거래대금 10억 이상으로 중국 지수 ETF중 가장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이걸 매매하는게 좋다.

 

 

2. 해외상장 ETF

해외상장 중국 지수 ETF는 미국이나 홍콩 상장한 중국 지수 ETF로 매매한다. 국내가 아니라 해외상장 ETF로 하는 이유는 종류나 시총, 거래금 규모면에서 해외가 훨씬 크기 때문에 유동성 문제나 괴리율 문제가 한국보다 안전하기 때문. 그리고 레버리지 뿐만 아니라 3배 레버리지도 있고, 인버스도 -2배, -3배도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다.

 

대표적인 미국상장 중국 지수 ETF

MCHI - iShares MSCI China ETF

FXI - iShares MSCI Large-cap ETF

CHAU - Direxion daily CSI 300 China a ETF Bull 2x ETF

ASHR - XTrackers Harvest CSI 300 China A - ETF

 

MCHI만 미국, 홍콩 상장한 중국 회사들도 포함하고 있고, 나머지는 중국상장한 중국 회사로만 구성되어 있는게 특징이다. 4개다 시총 규모나 거래량이 국내 ETF랑 쨉도 안되게 크기 때문에, 유동성 걱정하지말고 매매하면 되겠다.

 

 

 

대표적인 홍콩상장 중국 지수 ETF 

02801 - iShares core MSCI China Index ETF

03055 - Xtrackers MSCI China UCITS ETF

03169 - Vanguard Total China Index ETF

 

결국 운용사들이 이미 미국에서도 ETF를 운용하는 곳이기 때문에, 딱히 홍콩달러를 미국달러보다 좋아하는 것이 아니면 홍콩상장한 중국 지수 ETF를 매매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결론, 국내나 미국 상장 ETF로 중국 지수 ETF를 매매하는 것이 좋아보이고, 위에 기재한 것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ETF라 판단되며, 이 글을 마친다. 이상!

반응형

댓글